Page 379 - BOOK01_ESSAY
P. 379

ESG, ‘Environmental’ 환경과 ‘Social’ 사회화 그리고

                                      ‘ Governance’지배 구조 다.



               다시 말하면 사회 관계 ‘Environmental’이 직접적인 관계가 없다 하더

               라도 환경을 아름답게 만드는 것에 우리가 산업을 발전시키고,

               자연을 보호하지 않으면 벌거숭이가 됐을 때 비가 왔을 때,
               그것을 품어주지 못하면 물난리가 나고 전 세계에 질병이 생기게 된다.

               그러므로 이거는 같이 연결돼 있다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Social’사회적이라는 것은 우리가 같이 살아가는 거다.
               아프리카에서  또  어디에서  한국에서  중국에서  어디에서,,,  이상한  질병이

               생기더라도 전 세계로 퍼지게 돼 있기 때문에 이제는 사회를 같이 생각하면

               서 살아가야 된다. 내가 미치는 좋은 사회적인 영향이 바이러스가 되어,,,,


               전 세계를 돈다고 생각해보라! 얼마나 보람 있고 행복할지 상상해 보라!



                ‘ Governance’지배구조는 기업의 형태가 학연, 지연, 혈연 없이 이렇게

               이끌어가는, 정당성 있고 객관성 있는, 그래서 이 사회에 좋을 영향을 미치
               는 좋은 기업, 그런 형태의 비즈니스가 필요하고, 그렇게 해야 이 사회의 좋

               은 기업으로 오래 간다.

               그래서 거버넌스다.


               나는 내가 만든 단체와 기업을 통해 환경 사업을 오랫동안 해오면서 그것을

               일으켰고, 그래서 수많은 환경보호 운동을 했고, 그러면서 나는 수많은 단

               체 생활을 했고, 그래서 ESG, 나는 회사에 단 한 번도 학연 지연 혈연 을 쓴
               적이 없는‘ Governance’ 지배구조를 강조하고 실천했다.

               이렇게 볼 때, 나는 이미 1992년부터 ESG 운동의 창시자로서 활동해 온

               것이다.


               그래서 사회라고 하는 것은 아래 세가지가 필수다.

               첫째 자연을 생각해야 되고

               두 번째 사람을 생각해야 되고
               세 번째 함께 더불어 사는 것을 통해서 지속 가능해야 된다.                                                      QR




                                                     379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