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8 - BOOK01_ESSAY
P. 378

그래서 행복한 사회, 아름다운 사회, 정말 좋은 사회가 되려고 그러면

               이기주의적인 사회로 가버리면 무너질 수밖에 없고 이타심을 가진 사람들

               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사회는 윤기 있는 사회로 가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공공의 사회, 개인적인 사회 이런 모든 것들을 다 통합해서

               가르쳐야 되는데,,,

               이것이 바로 사회 지도자가 필요하고,
               그 사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소통이다.

               또 ‘소통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관계다. 관계를 위해서 소통하는 것이다.’

               좋은 관계를 맺기 위해서는 소통을 잘 해야 되는데, 소통도 기술이 필요하
               다. 어떻게 하면 잘 소통될 수 있을까? 이런 기술을 가르쳐야 한다.

               그래서 사회 지도자가 필요하는데 이런 곳에 지도를 어떻게 할 것이냐 그

               래서 사회가 행복한 사회를 만들어낸 나라를 찾아내서 그 나라의 가장 좋
               은 방법들을 우리가 그들의 좋은 관계의 기술을 닮아가고 그것을 학습하

               고 그것을 배우면서 그것을 다시 재창조를 해서 자신들의 성향과 자신들

               의 문화와 이런 것들에 맞게끔 다시 만들어서 자기 사회에다 적용하는 것
               맞춤형 사회를 구성하는 게 필요한데

               이런 것들을 하려면 바로 지도자가 있어야 된다.

               그래서 사회 지도자는 각각의 단체 지도자들이 있고 수많은 그룹의 장들

               이 있고 이런 분들이 이 사회를 어떻게 해 갈 것이냐에 대한 것을 우리가
               배우고 익히고 가리켜주는 장소가 필요한데 그것이 바로 ‘졍경사문종지

               양’이다.

               그래서 그것을 나는 만들고자 한 것이다.

               그것이 사회의 목적이고 관계이다.
               그래서 우리가 요즘 보면, 앞으로도 그렇고 그렇지만 이윤 추구만 목적으

               로 하지 않고,

               바로 ESG라고, ‘Environmental’ 환경과 ‘Social’ 사회화 그리고’
               Governance’지배 구조 다

               ESG는 현재 기업에 대한 비재무적 평가 기준이 되는 환경, 사회, 지배 구

               조 관련 요소다.
               매출 대비 영업이익만 높은 것이 이윤 추구에다가 돈을 주지 않고 , 이제

               함께 더불어 사는 관계를 생각하기 때문에, ESG를 중심으로 해서 돈도 빌
     QR
               려주겠다는 것이다.


                                                     378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