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0 - BOOK01_ESSAY
P. 380

‘이런 것이 ESG의 본질이며

                         이것이 바로 오늘날 사는 우리 사회의 모습이 돼야 된다.’



               라고 생각하면서 나는 한국 사람들에게 이것을 만들어주고 싶었다.



               그래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종교 지도자 ‘양성소’를 둔다.
               그 중에서 ‘사회 지도자 양성소’에서는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

               해결책 등을 다룬다. 문제가 없는 것은 좋은 것만은 아니다.

               우리가 살면서 문제는 언제나 오게 되어있다.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느냐? 하는 해결 능력이 있는 것이지
               문제 자체가 없기를 바라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다.

               이 해결 방안을 잘 모색하고 미리 대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지도자를

               잘 배출하여야 한다.


               그래서 우리가 후손들을 낳게 되면 문제가 없게 해 주십시오 하고 기도하기

               보다는 우리 아이들이 그 문제를 지혜롭게 해결하게 해주세요라고 기도하

               는 것이 맞고 그걸 통해서 우리가 가르치고, 배우고, 익히고 하려면 모여야
               하고 그런 장소가 필요하다.

               그것이 바로 정경사문종지양이라고 하는 학당에서 배우지 아니하면 익히지

               아니하면 알 수 없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을 때까지 배우고, 익히고 해야 되는

               것이다.

                        ‘From the cradle to the grave.’’요람에서 무덤까지’
               그러니까 결국은 인간은 교육으로부터 자유로울 수가 없고,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죽는 순간까지 사회로부터 벗어날 수가 없다.

               그래서 인간은 사회 속에서 웃고 사회 속 배우고 사회 속에서 생활하다가
               사회에서 끝이 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이 사회를 아름답게 만들어야 되는 이유가 바로 거기에 있고,
               세상이 나를 힘들게 한다고 사회를 망쳐서는 안 된다.

               세상이 나에게 고통을 준다고 해서 그 고통으로 복수를 해서는 안 된다.

     QR        사회는 함께 더불어 사는 것이지, 나 만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우리를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다.

                                                     380
   375   376   377   378   379   380   381   382   383   384   385